- 참여 게시판
참여 게시판
자유글 중에서 선정된 글은 협회 홈페이지 메인 화면에 소개가 되고,
죽을권리세계연맹 홈페이지 에세이에 영문으로 게재됩니다
[선택 死]① 잘 죽을 권리...'조력존엄사' 원하는 사람들 이별님 기자님
작성자
경희 이
작성일
2025-04-02 11:22
조회
53
https://www.newspost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212689
링크 터치!
국민 80%, '조력존엄사' 국내 도입 찬성
해외서 조력존엄사 선택한 고 조복순 씨
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로우며, 누구에게나 동등한 존엄성과 권리가 있다.
1948년 12월 10일 UN총회에서 채택된 세계인권선언문 제1조 첫 문장은 인간의 보편적인 존엄성을 말한다. 참혹했던 두 차례 세계대전으로 1천만 명 이상이 희생되고 나서야 인류는 비로소 천부인권(天賦人權)을 전 세계에 선언하게 됐다.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존엄성을 가진다는 것이다.
반 세기가 지나자 인간은 죽음에도 존엄성을 논하게 된다. 사망을 목전에 둔 환자를 위한 '안락사(安樂死)'와 '존엄사(尊嚴死)'에서 스스로 사망 시기를 선택하는 '조력(助力)존엄사'까지 죽음에 대한 인류의 논의는 점차 확대 돼왔다. <뉴스포스트>는 '존엄한 죽음' 중 가장 적극적인 방식이자 여전히 논쟁적인 '조력존엄사'에 대해 지면을 할애하기로 했다. -편집자 주-
...
링크 터치!
국민 80%, '조력존엄사' 국내 도입 찬성
해외서 조력존엄사 선택한 고 조복순 씨
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로우며, 누구에게나 동등한 존엄성과 권리가 있다.
1948년 12월 10일 UN총회에서 채택된 세계인권선언문 제1조 첫 문장은 인간의 보편적인 존엄성을 말한다. 참혹했던 두 차례 세계대전으로 1천만 명 이상이 희생되고 나서야 인류는 비로소 천부인권(天賦人權)을 전 세계에 선언하게 됐다.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존엄성을 가진다는 것이다.
반 세기가 지나자 인간은 죽음에도 존엄성을 논하게 된다. 사망을 목전에 둔 환자를 위한 '안락사(安樂死)'와 '존엄사(尊嚴死)'에서 스스로 사망 시기를 선택하는 '조력(助力)존엄사'까지 죽음에 대한 인류의 논의는 점차 확대 돼왔다. <뉴스포스트>는 '존엄한 죽음' 중 가장 적극적인 방식이자 여전히 논쟁적인 '조력존엄사'에 대해 지면을 할애하기로 했다. -편집자 주-
...
전체 0
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.
소셜 로그인

